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성의 고민: TSMC와의 치열한 파운드리 경쟁

by rich0011 2025. 2. 22.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TSMC의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이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에서는 TSMC의 벽을 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현재 반도체 업계는 AI 반도체와 초미세 공정 개발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삼성전자는 기술 개발과 투자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삼성전자와 TSMC의 경쟁 현황, 삼성전자가 직면한 고민, 그리고 미래 전략을 분석해 본다.


파운드리 시장의 강자, TSMC

TSMC는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약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애플, 엔비디아, 퀄컴 등 글로벌 팹리스 기업들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3나노미터(㎚) 등 첨단 공정에서의 기술력은 TSMC의 강력한 경쟁력의 원천이다.

TSMC는 2025년부터 2나노 공정 양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며, 2027년에는 1.4나노 공정을 도입해 경쟁사들과의 기술 격차를 더욱 벌릴 예정이다. 현재 AI 반도체와 HPC(고성능 컴퓨팅) 수요가 급증하면서, TSMC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도 단행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도전과 고민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시장에서 약 10%대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

① 고객 확보의 어려움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종합반도체기업(IDM)이다. 반면, TSMC는 파운드리 사업에만 집중하고 있어 고객사들이 오직 생산에만 집중하는 TSMC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팹리스 기업들이 삼성전자를 경쟁자로 인식하면서, 파운드리 주문을 TSMC에 몰아주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② 기술력과 수율 문제

삼성전자는 첨단 공정 기술력에서 TSMC와 큰 차이가 없다는 평가를 받지만, 수율(생산된 반도체 중 정상 작동하는 칩의 비율) 확보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3나노 공정의 경우, 삼성전자가 TSMC보다 먼저 도입했지만, 수율 문제로 인해 주요 고객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생산 공정 개선에 집중하며, 2나노 공정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③ 공격적인 투자와 비용 부담

AI 열풍으로 인해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TSMC는 올해 30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역시 이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메모리 업황 침체로 인해 현금 보유량이 감소하면서 투자 재원 확보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5년 2나노 공정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7년에는 1.4나노 공정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술 격차를 줄이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전략이다.


미래를 향한 삼성전자의 전략적 선택

삼성전자가 TSMC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력 향상만으로는 부족하다.

1️⃣ 고객 신뢰 확보

  • 기존 고객사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생산 공정을 제공하여 신뢰를 쌓아야 한다.
  • 파운드리 사업을 보다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차세대 반도체 시장 공략

  • AI 반도체, 자율주행, 데이터 센터 등 신시장에 집중하여 파운드리 사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 특히, 고성능 컴퓨팅(HPC)과 저전력 반도체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3️⃣ 공격적인 투자 및 연구 개발

  • 초미세 공정뿐만 아니라, 첨단 패키징 기술과 차세대 반도체 아키텍처 개발을 가속화해야 한다.
  • 반도체 설비 투자 확대를 통해 생산량을 늘리고, 주요 고객사를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 삼성의 고민, TSMC와의 격차를 좁힐 수 있을까?

현재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를 따라잡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 고객 신뢰 확보, 기술적 완성도 향상, 대규모 투자 등 모든 측면에서 과감한 전략이 필요하다.

TSMC는 2나노, 1.4나노 공정으로 초미세 반도체 시장을 선점하려 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2나노 공정 경쟁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야만 승산이 있다.

과연 삼성전자는 TSMC의 강력한 독주를 저지하고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에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까?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